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WEB139

[JS] 콜백 함수 콜백 함수 란? 콜백(Callback) 함수는 간단히 말하면 매개변수로 함수 객체를 전달해서 호출 함수 내에서 매개변수 함수를 실행하는 것 function sayHello(name, callback) { const words = '안녕하세요 내 이름은 ' + name + ' 입니다.'; callback(words); // 매개변수의 함수(콜백 함수) 호출 } sayHello("인파", function printing(name) { console.log(name); // 안녕하세요 내 이름은 인파 입니다. }); 즉, 콜백 함수란 파라미터로 일반적인 변수나 값을 전달하는 것이 아닌 함수 자체를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고 보면 된다. 또한 어차피 매개변수에 함수를 전달해 일회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굳이 함수의 .. 2023. 10. 24.
[JS] 즉시실행함수(IIFE) 즉시실행함수 (IIFE, Immediately Invoked Function Expression) : 말그대로 정의되자마자 즉시 실행되는 함수를 말한다. 도대체 이게 뭔소릴까? 모든지 즉시 실행되는데?? 즉시실행함수는 선언과 동시에 호출되어 반환되어 재사용 할 수 없다고 한다. 이게 일반 함수와 즉시실행함수에 가장 큰 차이점 같다. (function () { console.log("IIFE"); })(); // 화살표 함수로도 사용 가능하다 (() => { console.log("IIFE"); })(); 즉시실행함수는 다음과 같이 소괄호(())로 함수를 감싸서 실행하는 문법을 사용한다. 즉시실행함수를 왜 사용할까? : 필요없는 전역 변수의 생성을 줄일 수 있다. 즉시실행함수를 어떻게 활용할까? : 단 한.. 2023. 10. 24.
[JS] 매개변수 패턴 1. 매개변수 고정 function multiply(a, b = 1) { return a*b } multiply(5, 2) // 10 multiply(5) // 5 multiply(5, undefined) // 5 : 여기서 신기한 것은 multiply(5, 2)이다. MFC에서 했을 때는 2는 안 먹고, 1로만 고정됐는데… 2. '…'로 나머지 요소 가져오기 let [name1, name2, ...rest] = ["Julius", "Caesar", "Consul", "of the Roman Republic"] alert(name1) // Julius alert(name2) // Caesar // `rest`는 배열입니다. alert(rest[0]) // Consul alert(rest[1]) // of.. 2023. 10. 24.
[JS] 함수 선언식 vs 함수 표현식 함수 선언식이란? function foo() { return "이것은 함수입니다."; } 처럼 function으로 시작하여 함수를 선언해주면 된다. 함수 표현식이란? var x = function (a, b) {return a * b}; alert(x(1,2)); // 3 위와 같은 형태를 뜻한다. 이 경우 함수에 따로 이름이 없고, 호출할 때도 변수를 통해 호출하게 된다. 2023. 10. 24.
반응형